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기요양등급 4등급 본인부담금, 얼마나 내야 할까?

by 파인드머니 2025. 6. 28.
반응형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장기요양등급 4등급 본인부담금, 얼마나 내야 할까?

 

장기요양등급 받았다고 끝이 아님... 실제로 본인이 내는 돈이 꽤 있음. 4등급 기준으로 부담금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봄.

헷갈릴 뻔했는데, 생각보다 내야 하는 돈이 많을 수 있음;; 특히 시설 들어갈 계획이면 부담금 계산 먼저 해보는 게 좋음.


장기요양등급 4등급 기본 급여 구조

4등급은 일상생활에서 일정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재가급여가 기본이고, 특별한 경우에만 시설급여 가능함.

급여 종류별 구분

  • 재가급여: 집에서 받는 서비스 (방문요양, 주야간보호 등)
  • 시설급여: 요양원 입소 (등급판정위원회 인정 시만 가능)
  • 복지용구: 연간 한도 내에서 구입·대여

4등급은 원칙적으로 재가급여만 이용 가능. 시설급여 원하면 별도 변경 신청해야 함.


2025년 기준 본인부담금 정리

재가급여 본인부담금

항목 월 한도액 본인부담률 월 본인부담금
4등급 재가급여 약 125만원 15% 약 18~19만원
복지용구 연 160만원 15% 년 24만원 이내

2025년 재가급여 월 한도액이 인상되어서 4등급은 약 125만원 정도로 예상됨. 이 중에서 15%를 본인이 부담.

시설급여 본인부담금

항목 1일 비용 본인부담률 월 본인부담금
시설급여 약 9만원 20% 약 54만원
비급여(식비 등) 약 1만 3천원 100% 약 39만원
총 부담금 - - 약 93만원 이상

시설급여는 진짜 비쌈. 급여비용 20% + 식비·간식비 등 비급여까지 합치면 월 90만원 넘게 나올 수 있음.


감경/감면 대상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전액 면제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의료급여)
  • 본인부담금 0원

감경 대상

  • 차상위계층: 본인부담률 6% 또는 9%
  • 의료급여 1종: 본인부담률 6%
  • 의료급여 2종: 본인부담률 9%

감경 조건 맞으면 본인부담금이 절반 이하로 떨어짐. 이거 꼭 확인 안 하면 돈 나감;;

감경 신청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 관련 증명서류 제출 (수급자 증명서 등)
  •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

자주 묻는 질문들

Q. 등급만 나오면 무료 아니었나?
X 아님. 본인부담금은 필수임. 단, 기초생활수급자는 면제.

Q. 복지용구도 본인부담 있음?
있음. 연 160만원 한도 중 15% 부담. 휠체어, 침대 등 구입·대여할 때 돈 내야 함.

Q. 시설에 입소하면 무조건 많이 드나?
맞음. 식비·간병비 별도라서 실제로는 80만원 이상 부담 가능성 높음.

Q. 한도액 넘으면 어떻게 되나?
한도액 초과한 부분은 100% 본인부담. 월 125만원 넘게 쓰면 넘는 돈은 다 본인이 냄.

Q. 감경 신청 언제 해야 하나?
등급 받자마자 바로 신청하는 게 좋음. 소급 적용 안 되는 경우 많아서.


놓치기 쉬운 추가 비용들

재가급여 이용 시

  • 교통비: 방문요양사 교통비 별도
  • 가산비용: 야간·휴일 이용 시 30~50% 가산
  • 초과 이용료: 월 한도 넘으면 전액 본인부담

시설급여 이용 시

  • 식비: 1일 약 1만원 (3식 + 간식)
  • 상급 침실료: 1인실 이용 시 추가 비용
  • 이미용비: 미용실 이용료 별도
  • 개인용품비: 기저귀, 의류 등

이런 비급여 비용들까지 합치면 생각보다 부담 클 수 있음.


부담금 줄이는 팁

감경 대상 꼭 확인

소득이 낮으면 차상위계층 해당될 수 있음. 증명서류 챙겨서 신청해볼 것.

재가급여 우선 이용

시설급여보다 재가급여가 훨씬 저렴함. 집에서 생활 가능하면 재가급여부터.

월 한도액 계산해서 이용

한도액 넘지 않게 계획적으로 이용. 넘으면 전액 본인부담이라서 진짜 아까움.

복지용구 적극 활용

연 160만원 한도 내에서는 15%만 부담. 필요한 용구들 미리 체크해둘 것.


생각보다 내야 하는 돈이 많을 수 있음... 감경 대상 꼭 확인하고, 특히 시설 들어갈 계획이면 부담금 계산 먼저 해보는 게 좋음.

몰랐으면 그냥 다 냈을 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면 부담금이 확 줄어드니까 해당 여부 반드시 확인할 것.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체크리스트

반응형